본문 바로가기
정책뉴스

수면무호흡증의 급증과 급성심장정지 위험

by 데이지1 2024. 11. 21.
반응형

수면무호흡증은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. 최근 질병관리청의 발표에 따르면,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, 이는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이에 따라 수면무호흡증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의 현황, 위험성, 그리고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수면무호흡증환자를 살펴보고 있다.

 

🍃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급증

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, 국내 수면무호흡증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:

- 2018년: 4만 5,067명

- 2023년: 15만 3,802명 (약 3배 증가)

☕ 연령별 발생 경향

수면무호흡증의 발생 경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:

- 남성: 30~40대에서 발생률이 높습니다.

- 여성: 50~60대에서 발생률이 높습니다.

 

🍃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증상

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
1. 수면 중 호흡 중단

2. 주간 졸림증

3. 집중력 저하

4. 코골이

 

🍃 수면무호흡증과 급성심장정지의 관계

연구 결과에 따르면, 수면무호흡증은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:

-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% 증가합니다.

- 특히, 심혈관질환이 없는 18~64세의 젊은 연령층에서는 급성심장정지 위험도가 76%까지 증가합니다.

☕ 다른 위험 요인과의 비교

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(위험비 2.33)은 다른 주요 위험 요인들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순위를 보입니다:

1. 당뇨 (위험비 4.10)

2. 고혈압 (위험비 3.63)

3. 수면무호흡증 (위험비 2.33)

4. 흡연 (위험비 2.19)

5. 비만 (위험비 1.02)

흡연, 비만보다 위험성이 높습니다.

 

🍃 질병관리청의 대응

질병관리청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했습니다:

1.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정보를 담은 카드뉴스를 제작했습니다.

2. 카드뉴스에는 수면무호흡증의 증상, 급성심장정지 위험성, 자가진단법, 치료방법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

3. 이 카드뉴스는 국가손상정보포털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🍃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

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.

또한, 다음과 같은 건강관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과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:

1. 비만 관리

2. 금연

3. 고혈압 관리

 

 

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수면 문제를 넘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건강 문제입니다.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도 그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 수면 중 호흡 이상이나 주간 졸림증 등의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하고 적절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여 수면무호흡증과 그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 

 

출처: 질병관리청

https://www.kdca.go.kr/board/board.es?mid=a20501010000&bid=0015&list_no=726514&act=view

 

질병관리청

질병관리청

www.kdca.go.kr